프로그래밍

[Cloud] Scale-up, Scale-out

daykim 2023. 5. 8. 15:44

서비스 운영할 때 점점 유입되는 사용자가 많아지거나 많은 사용자가 동시 접속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.

때문에 자원확장이 필요하게 되었다.

이 때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스케일 업(Scale-up)과 스케일 아웃(Scale-out)이라는 방법이 있다.

 

Scale-up

기존의 서버보다 높은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

  • 수직 스케일링 (vertical scaling) 이라고도 한다.
  • ex) AWS EC2 인스턴스 사양을 small -> medium으로 높이는 것이다.

 

Scale-out

기존의 장비에 다른 장비를 추가해서 확장하는 방식이다.

  • 수평 스케일링(horizontal scaling)이라고 한다.
  • 기존 장비와 비슷한 장비를 추가로 연결하는 것이다.
  • 처리 가능한 데이터 용량이 증가한다.
  • 기존 서버의 부하를 분담해 성능 향상의 효과도 있다.

 

장단점

  Scale-up Scale-out
장점 - 추가적 네트워크 연결 없이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.
- 아웃보다 관리 비용이나 운영 이슈가 적다.
- 사양만 올리는 것으로 비교적 쉽다.
- 확장의 유연성
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 서버를 추가해 용량과 성능을 확장할 수 있다.
단점 - 성능의 한계가 있다.
- 성능 향상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다.
- 서버 한 대가 부담하는 양이 많아져, 어떠한 이유로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타격이 크다.
- 서버 교체로 성능을 올릴 때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다운타임이 불가피하다.
- 서버 수가 늘어날수록 관리가 힘들다.
- 병렬 컴퓨팅 환경 구성을 위해 아키텍처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요구된다.

 
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배워서 바로 쓰는 SQL 쿼리] 정리  (0) 2024.03.05
[MySQL] 명령어  (0) 2023.09.25